본문 바로가기
HGI-게임과 심리학

자꾸 내일의 '나'님에게 미루는 이유 - 현명한 선택을 도와주는 아바타

by ellev 2023. 1. 29.

현명한 선택을 도와주는 아바타
‘프로테우스 효과’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말고도, 작심삼일을 바꿔주는 다른 연구도 있다.


‘어제의 나'.. 왜 그랬니?

한창 ‘내일의 나'야 부탁해~라는 표현이 유행이었다. ‘에라, 내일 일은 내일 생각하자.’를 한 단계 뛰어넘어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를 다른 사람처럼 분리시켰다.

오늘 내가 한 행동이 내일 어떤 결과를 일으키건 뒷수습은 내일의 ‘나'에게 미뤄버린다.


어찌 보면 무슨 유체이탈, 다중인격 같은 사고방식인가 싶지만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샀다. 한 연구에 따르면 뇌과학적으로 틀린 말도 아닌가 보다.

뇌는 ‘내일의 나'는 남이라고 생각한다.

‘내일'을 ‘미래'라고 정의했을 때 우리의 뇌는 ‘미래의 나’는 나 자신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나'를 떠올릴 때는 뇌가 밝게 빛나는 반면 ‘남(특히 모르는 사람)’을 떠올릴 때는 그렇지 않았다.

그런데 미래의 나를 생각하라고 하자 마치 ‘남'을 떠올릴 때처럼 뇌는 ‘신경 쓰지 않았다(didn’t care)’고 한다. [1]

연구 결과 도표를 다시 그림 (Ersner-Hershfield, H., Wimmer, G. E., & Knutson, B. 2009)



즉, 우리는 마치 모르는 행인을 대하듯이 미래의 자신을 길가며 스치는 이들처럼 여겨 관심도 없고 신경도 안 쓴다는 뜻이다.

미래의 나를 현재에서 버튼 하나로 죽이는 건 의외로 간단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미래의 나를 본 다음에도 그럴까?

그래서 먼 미래를 위해 지금 현실에서 하는 고생을 참기 힘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 힘든 걸 참고 미래를 위해 지금 투자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우리는 모두 ‘카푸어족'이나 ‘명품족'을 비난한다. 가까운 미래에 어떻게 될지 빤히 보이는데 지금 당장의 ‘오늘의 나'를 위해 욕망을 참지 않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 몇 달뒤 건강한 몸을 바라면서도 지금 당장 내 앞의 떡볶이를 참기 힘들다.

내일의 나를 ‘보면’ 현명해진다.

그래서 위의 연구진들은 ‘프로테우스 효과'를 활용해 재밌는 실험을 진행했다. VR을 이용해 실험 참가자들에게 ‘늙은 나'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랬더니 ‘늙은 나'를 바라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은퇴 후 더 많은 저축(실험에서 은퇴 저축 툴을 사용)을 했다고 한다.


자꾸만 ‘내일의 나'에게 미룬다면?

굳이 연구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요즘은 간단하게 내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래처럼 '에이징'기술로 앱을 통해 간단하게 나이 든 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Timothée Chalamet 티모시 살라메 (왼) 영화 Dune / (오) 앱으로 나이 든 모습
 





VR을 이용한 연구와 같은 결과가 나올지는 알 수 없다. 그래도 시도해 볼만하지 않을까?



아니면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비전보드 활용을 어떨까.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내가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해보는 건?(샐카사진 필수)



오늘 내가 망친 일로 내일도 망한 내 모습을 자꾸 상상하는 것보다는 오늘의 내가 미래를 위한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니까.




#미래의나 #오늘의나 #내일의나 #작심삼일 #HCI #게임심리 #디지털심리 #공학심리 #인지심리학 #웹툰

[1] Ersner-Hershfield, H., Wimmer, G. E., & Knutson, B. (2009). Saving for the future self: Neural measures of future self-continuity predict temporal discounting.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4(1), 85-92. https://doi.org/10.1093/scan/nsn042

728x90

댓글